본문 바로가기

메소드 (by 파이썬) 객체의 속성과 행동을 나타낼때 속성은 변수로 행동은 함수로 나타낸다. 클래스에 정의한 함수를 메소드라고 부른다. 메소드의 3종류 1. 인스턴스 메소드 : 인스턴스 변수를 사용하거나 인스턴스 변수에 값을 설정하는 메소드 2. 클래스 메소드 3. 정적 메소드 인스턴스 메소드 예시 #먼저 User 클래스 정의 class user: #인사 메세지 출력 메소드 정의 def say_hello(some_user): #some_user 자리에 인스턴스 입력 print('안녕하세요! 저는 {}입니다!'.format(some_user.name)) #인스턴스의 name 변수를 출력 #인스턴스 생성 user1 = User() #인스턴수 변수 name 정의 user1.name = '김철수' 인스턴스 메소드 사용법 1 클래스 이..
인스턴스 변수(by 파이썬) 인스턴스 변수 정의 인스턴스를 다루기 위해 먼저 클래스가 있어야 한다. 클래스 생성 'User' class User: 인스턴스 생성 'user1' user1 = User() 인스턴스 변수 name 정의 (클래스의 속성을 결국 변수로 나타내므로 변수를 속성이라고도 함.) 인스턴스 이름.변수이름 = '변수에 넣을 값' user1.name = '김철수' 이렇게 생성한 인스턴스 변수는 user1 인스턴스 고유의 변수이다. User 클래스로 새로운 인스턴스 user2를 만들어도 name 변수는 생성되지 않는다. 인스턴스 변수 사용 인스턴수 이름.변수이름 print(user1.name)
클래스(class)와 인스턴스(instance) 구색을 갖춰놓은 정보 집합, class 클래스는 다양한 의미를 갖고 있는 단어이다. 단순한 단어 의미로 '학급, 수업, 강좌' 의 뜻이 있고 사회학적으로 직업, 신분, 재산등에 의해 구별되는 사람들의 집단. 즉, '계급'의 의미도 있다. 통계학적으로 변량의 값을 나눈 '구간'을 의미한다. 하지만, 프로그래밍에서는 객체 내부의 데이터 구조와 그 조작을 정리하여 '정의'한 것. 동일한 속성, 오퍼레이션, 관계 등을 갖고 있는 객체들의 집합을 나타낸 것이다. 짧게말해 속성과 행동을 모아놓은 것이다. 이렇게 설명하니 어려운것 같다. 일단 한 단어로 말해서 클래스는 '정의'라고 할 수 있다. 속성와 행동을 정의한것. 어떤 속성이 있는지, 동작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기본 설정을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클래스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_개념 Object-Oriented Programming(OOP) 정의 프로그램 설계 방법론이자 개념의 일종으로 프로그램을 단순히 데이터와 처리 방법으로 나누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을 수많은 '객체(object)'라는 기본 단위로 나누고 이들의 상호작용으로 서술하는 방식이다. 객체란 하나의 역할을 수행하는 '메소드와 변수(데이터)'의 묶음으로 봐야 한다. 객체 {(속성), (행동)} Q. 객체란 무엇인가? 우리가 살아가면서 보는 모든 존재라 할 수 있다. 대상의 특징을 속성이라 하고, 대상의 움직임을 행동이라 한다. 어떤 특징을 갖고 움직이는 모든 것이 객체다. Q. 모든 게 객체인가? 그렇다. 현실에 존재하든, 가상으로 존재하든 속성과 행동을 떠올릴 수 있다면 모두 객체이다. 객체지향은 특정 언어가 아니라 ..